[사설] 재정적자 폭증에 기업 옥죄기… 경제 실상 직시할 때다 - 세계일보
나라 살림이 악화일로다. 어제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가채무는 8월 말 794조1000억원에 달했다. 불과 8개월 새 100조원 가까이 불어난 것이다. 1∼8월 관리재정적자도 96조...
www.segye.com
여당 내에서조차 기업 옥죄기 규제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양향자 최고위원은 “공정경제 3법을 추진한다면서 기업이 소외된다면 그것 또한 공정한 일은 아니다”라고 했다. 기업에 온갖 규제로 족쇄를 채우다가는 일자리는 사라지고 경제도 망가질 게 불 보듯 뻔하다. 정부·여당은 경제계의 지적과 비판을 수용해 기업규제 3법의 입법을 유보하고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전면적 규제개혁에 나서야 할 것이다.
[경제시평] 김종인과 민주당 의원들
‘공정경제 3법’에 관한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활약이 생각보다 대단하다. ‘미스터 경제민주화’이니 전향적일 것이라 생각은 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재계와의 면담을 10분 만에 끝내고, 세계에 없는 규제라는 주장에 세계에 재벌 같은 구조도 없다고 받아치는 모습에서는 내공이 보인다. 뭐, 다른 국민의힘 의원들은 그렇다고 치자. 그런데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이상하다.
news.kmib.co.kr
공정경제 3법의 핵심은 총수의 사익편취와 시장질서 침해에 대한 규율이다. 어느 나라가 주주,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는 불법행위를 눈감아주며 타협을 하나? 그리고 원래 대타협은 글로벌 대기업과 협조하는 것이다.
(중략)
자, 문제의 본질은 꼴랑 한 명의 독립적인 감사위원도 결사반대하는 총수일가 경영의 독단과 불투명성이다.
[중앙시평] 대기업, 우군이 없는 이유
김종인은 투명 경영을 위해 기업 3법이 필요하고, 노동시장 유연화를 위해 노동법도 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했을 뿐이다. 실제로 기업 3법의 독소조항을 보완한 뒤 노동법과 함께 개정한다면 우리
news.joins.com
이런 민심의 흐름을 아는지 모르는지, 대기업은 달라진 게 별로 없다. 반시장 법안에 반대하면서 그들 스스로 반시장 행태를 보인다. 하청기업과의 갑을 관계가 여전하다. 기술·인력 탈취도 줄지 않았다.
(중략)
대기업은 왜 고립무원이 됐는지 스스로 돌아봐야 한다. 보수·진보, 친기업·반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공정·불공정의 문제다. 거친 현대사를 헤쳐나오면서 평등·공정·정의는 시대 정신이 됐다. 진보 정권의 전유물이 아니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니언 클립 17] 문재인 정부 비판 (0) | 2020.10.13 |
---|---|
[오피니언 클립 14] 전태일 3법 그리고 노동 개혁 (0) | 2020.10.13 |
[오피니언 클립 12] 라임ㆍ옵티머스 검찰 수사 (0) | 2020.10.13 |
[오피니언 클립 10] 언론의 자유와 책임 (0) | 2020.10.12 |
[오피니언 클립 9] 대한민국 노동자 (0) | 2020.10.12 |